괄목상대 (刮目相對)
괄목상대 뜻.
다른사람의 재주나 학식이 생각보다 부쩍 발전하여 진보하였음을 이르는말.
(괄목 : 눈을 비비고 볼 정도로 매우 놀람.)
(유사단어 : 괄목할만하다, 괄목할만한, 괄목한, 괄목성장)
비빌 괄.
눈 목.
서로 상.
대할 대.
괄목상대. 흔히 우리가 사용하는 고사성어는 아니지만 흔히 주변에 놀라운 발전을 보이고있는 사람에게 붙일수 있는 수식어 입니다.
괄목상대 유래.
삼국시대 오나라 여몽은 무술이 뛰어났지만 학식이 부족하여 오의 아몽이라고 불렸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손권이 그를 찾아와 학문과 병법을 권하며
" 특별히 박사가 될 필요까지야 없고, 그저 과거의 일을 많이 알길 바라네"
라는 말을 건넨 이후 여몽은 병법과 학문에 힘을 다하기 시작하였고, 결국 그 분야에 박사가 될정도의 지식을 갖추게 됩니다. 그 후 오의 중신인 노숙이 여몽에게 몇가지 질문을 물었는데 여몽은 이렇게 말합니다.
"무릅 사(士선비 사)란 사흘이 지나면 사람을 대할때 눈을 비비며 다시보아야 한다"
이런 대답을 한 여몽을 본 노숙은 "오의 아몽"에 비유할수 없을정도로 튼튼한 학문과 병법에 놀라워 하게 됩니다.
이렇게 괄목상대 유래는 삼국시대 오나라 여몽에 의해 탄생되었습니다.
별볼일 없는 단지 무술만 뛰어난 군인이 병법과 학문을 배우며 탄생한 고사성어인데요.
이렇게 괄목상대 유래가 탄생하게 되어 현재까지 누군가 혹은 주변사람의 놀라운 노력에 대한 변화를 "괄목상대"라 말하곤 합니다.
하지만 그 변화속에는 그사람에 큰 결심과 노력 그리고 행동이 있기에 가능했을것은 분명합니다. 한사람의 변화는 곧 주변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는점. "그 사람"이 내가 될수있도록 조금더 현명하고 확실하게 노력을 해보시는건 어떠신가요?
필요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필요한 사람이 되기위한 준비과정이 필요합니다.
괄목상대 뜻, 괄목상대 유래를 다시한번 생각하고 마음속에 새겨보시는건 어떠세요?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옹지마 뜻과 유래 - 인생사 새옹지마, 인생만사 새옹지마 , 인생무상 새옹지마 (1) | 2016.01.28 |
---|